제1회 AI Open 바둑대회의 대국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대국방법

  1. 본대국은 한국과 미국의 바둑협회에서 선발한 3명의 인간선수와 1명의 AI선수로 구성돤 국가대항 바둑대회입니다.

  2. 기본적인 대국의 방식은 한국기원의 경기규정을 준용하며 양측이 합의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3. 개회식 당일(D day)에 Team Korea의 주장선수(이하 K선수)와 Team USA의 주장선수(이하 U선수)가 대회장에 입장하여 흑돌과 백돌을 가립니다.

  4. 개회식 당일 (D day) 오전 10시(한국시간)에 흑돌을 쥔 선수가 대회장에 비치된 바둑판에 첫수를 둡니다.

  5. 첫수가 두어지면 선수들은 각자 집으로 돌아가며 두번째 수 부터는 인터넷 바둑으로 두어집니다.

  6. 수를 두며 대국을 진행하는 선수를 돌쇠 혹은 스토너(Stoner)라 하며 기본적으로 양팀의 주장이 스토너가 되지만 스토너가 대국을 진행하지 못할 경우에는 다음 선수에게 스토너의 권한을 넘겨줄 수 있습니다.

  7. 대회 이틀 째 (D+1 day) 한국시간 오전 8시까지 백돌을 쥔 선수는 두번째 수를 둡니다. 이후 5분 이내에 흑돌을 쥔 선수가 세번째 수를 둡니다. 또 이후 5분 이내에 백돌을 쥔 선수가 네번째 수를 둡니다.

  8. 이렇게 하여 하루에 3수씩 두어지며 매일 첫번째 수를 당수 (Dangsu,當手)라 하고, 그 후 5분 이내에 두어지는 두 번째 수를 응수 (Ngsu,應手)라 하며, 그 후 5분 이내에 두어지는 세 번째 수를 제수 (Jesu,題手)라 합니다.

  9. 대회 3일째 (D+2 day) 한국시간 오전 8시까지 다시 순서에 의해 당수, 응수, 제수가 두어집니다.

  10. 제한시간 10초 전부터 초읽기가 시작됩니다. 만일 스토너가 제한시간 내에 수를 두지 못하면 제한시간 후 10초 이내에 AI선수가 수를 두게 됩니다.

  11. K선수와 U선수는 각국의 최고의 프로기사를 포함한 모든 사람 및 현존하는 어떠한 인공지능 프로그램 및 수퍼 컴퓨터 등 가능한 모든 형태의 도움도 받을 수 있습니다.

  12. 이렇게 계속해서 대회 34일 (D+33 Day) 까지 100번째 수가 두어집니다.

  13. 이후 101번째 수부터는 당일 제수(題手) 이후 약 47시간 50분 후까지 즉, 매 이틀 후 오전 8시까지 당수가 두어집니다.

  14. 어느 한편이 기권을 선언하면 대국이 종료되며 이경우 불계승 혹은 불계패로 간주됩니다.

  15. 어느 한편이 계가를 요청하고 상대편이 이를 수락하면 계가가 시작됩니다. 계가는 바둑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으로 계산이 되고 계산결과를 양측이 동의하면 대국이 종료됩니다.